콘텐츠로 건너뛰기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산정기준 및 환급액 조회방법

  • 기준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산정기준 및 환급액 조회방법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어요. 직장인들은 4월에 건강보험료 연말을 하게 됩니다. 건강보험 연말정산이 어떠한 것인지 알아보고,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및 연말정산 환급액 조회 방법에 대하여 조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 고액의 진료비를 가계에 많은 부담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민들이 평소에 보험료 내고 보험자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이를 관리. 운영하다가 필요시 보험급여를 제공함으로써 국민 상호 간 위험을 분담하고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

건강보험료는 전년도의 보수급여 총액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 다음 해에 부과하게 됩니다. 올해 수입이 작년보다. 늘었거나 줄었다고 하더라도 작년 소득액 기준으로 건강보험료 납부하게 됩니다.


연말정산 세액공제
연말정산 세액공제

연말정산 세액공제

세액공제는 연말정산의 세금 자체를 줄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연금저축계좌 등을 활용한 연금저축펀드, IRP 등으로 연말정산 환급금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자녀세액공제, 보험료, 기부금, 의료비, 교육비, 월세액 등이 해당 됩니다. 그럼 이번에는 산출세액을 계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이 아래 표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본인의 과세표준이 8,600만원이라고 하면, 8,600만원의 24에서 522만원을 뺀 1,542만원이 산출세액이 됩니다.

10월12월 예상액 입력합니다.
10월12월 예상액 입력합니다.

10월12월 예상액 입력합니다.

국세청은 9월까지의 신용카드 사용금액 내용을 제공합니다. 그러니까 10월12월의 신용카드 사용액을 입력하면 미리 예상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 자신이 활용하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현금영수증, 대중교통 이용액의 소비금액을 확인하시고 금액을 입력해주세요. 우측에 소비 증가분도 참고해서 확인해주시면 작년과 비교하여 올해 얼마만큼 소비를 했는지 비교하여 알 수 있습니다.

최종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기납부세액이 맞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주고 차감징수세액을 확인합니다. 여기서 차감징수세액이 마이너스 금액이 나오면 다시 되돌려 받을 수 있는 13월의 월급이 되고 차감징수세액이 플러스 금액이 나오면 세금을 더 내야 하는 금액입니다. 차감징수세액 마이너스 되돌려 받는 세금 13월의 임금 차감징수세액 플러스 내야 되는 세금 미리 국세청 홈택스에서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통해 세금을 더 내야 될지 아니면 돌려받아야 할지에 대한 금액을 확인하시고 13월의 월급을 받을 수 있도록 바랍니다.

세금 모의계산 이용하기

더불어, 국세청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오른쪽 하단에 세금 종류별 서비스가 있는데요. 여기서 세금 모의계산을 클릭, 연말정산 자동계산을 선택해 환급금 조회가 가능해요. 연도를 선택, 급여 내역 입력 및 월급여액을 확인하고, 소득공제와 세액감면 항목을 입력하면 세액계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연말정산 계산 방법과 환급금 조회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작년도 지급명세서를 한번 차분히 훑어 보시고, 어디에서 공제를 받았는지 더 공제를 받을 부분은 없는지 생각해 보세요. 연말정산으로 더 낸 세금이 있다면 적법하게 돌려받으시길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연말정산 세액공제

세액공제는 연말정산의 세금 자체를 줄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10월12월 예상액

국세청은 9월까지의 신용카드 사용금액 내용을 제공합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

최종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기납부세액이 맞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주고 차감징수세액을 확인합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